중요한 것
1.메시지
청중들이 이 메시지 한 줄만 기억하게
2.자신감
확신에서 나오는 자신감. 이걸 왜 안사?
3.자연스러움
엄청난 연습. 개개인의 매력을 표출. 연습을 통해 틀 안에서 놀기
재미없는 100장 제안서를 재밌게 프레젠트 -> 표현력이 중요. 재미있게. 내 언어를 쓰기. 문장 수집이 필요하다.
문장 수집: 영화 문장, 작가 문장, 어디서든
제 3자의 이야기가 아니라 내 이야기를 한다
나 자신이 설득이 되어야 남을 설득할 수 있다
프렌젠트 3단계: 기획, 제작, 발표
1.기획: 청중 분석, 누가 들을 것인가. 좋아하는 것, 싫어한느 것. 청중, 타겟에 따라 전략 수립
2.제작: ppt제작할 땐 숲, 전체 흐름을 보기. 한 장 한 장이 아니라 전체 흐름, 리듬감에 집중. [슬라이드 여러 장 보기] 기능 사용
3.발표: 인사로 시작. 청중이 들을 준비가 됬는지 확인.
오프닝: 기대감 - 원포인트 메시지를 넣기, 첫인상. 스토리텔링. 감성형
클로징: 여운 - 마지막에 한 번더 강조. 메시지가 2개 있을 때 다른 메시지 전달. 밸런스가 중요. 담백하게, 이성적. 오프닝이 이성적이었으면 감성형으로
대본: 자신에게 맞는 방법 쓰기. 꼭 구어체 사용. 대화체, 대사체 사용. 암기가 아니라 숙지하기.
프레젠터 필수품: 포인터, 엑스포인터
프레젠터 롤모델 정하기: TED 프레젠터
1.발표자료 제작:
컴퓨터 앞에 안지 말고 종이에 Flow 구조화하기. 같은 주제들을 클러스터로 묶고 클러스터들을 논리 구조에 맞게 순서정하기.
이미지 위주로 제작.
대본: 큐카드
발표 연습: 입 밖으로 내뱉기. 최소 3번.
2.발표 전:
30분 전 도착
장비 점검
시계 확인
물 준비
첫 3분 암기: 첫 3분을 잘하면 긴장이 풀린다. 첫 3분을 되뇌인다
3.발표 오프닝
미소: 청중의 긴장을 푼다
아이스브레이킹: 재밌는 이야기, 공감가는 이야기
오리엔테이션: 목차, 쉽고 재미있게
4.발표 중반
시선: 청중들을 Z자로 훝기. 눈이 아니라 인중 보기
목소리: 평소보다 톤을 낮고 느리게. 할말이 생각 안나면 아무말도 안하고 뜸을 들이고 생각하기.
제스쳐: 원하는대로 하거나 안하기
유머: 예시들 때마다 유머러스한 예시 들기
5.발표 클로징:
시계를 보면서 확인하기, 부족하면 중요하지 않은 슬라이드는 넘기기
기억에 남는 코멘트
인사
자신이 볼 수 있게 슬라이드 하단에 희미하게 키워드 적어놓기
침묵 효과: 청중을 집중
PPT는 무기
1.보지 않고 하기: 노트북, 스크린을 보지 말고 발표하기. 항상 앞을 보고 하기. 종이에 구조를 적고 PPT 제작하면 제목과 키워드만으로 기억날 것. 추가로 하고 싶으면 내용을 외우는 작업을 하기. 슬라이드 보고 화면 안 보고 중얼거리기. 생각 안나면 키워드 다시 확인. 그리고 실전 연습. 포인터 추천. 제목 동그라미 치기. 발표 시간 엄수.
2.청중에게 도움이 되자는 마음가짐으로 발표하기
3.리듬타며 발표하기: 자연스럽게 이야기의 속도를 조절 - 느리게/보통/빠르게 리듬감 있게 발표. 연습하기. 소리를 지른다고 생각하며 연습. 중요한 메시지를 쇼하듯이 크게 말하기.
발표를 연습 기회라고 생각하기.
자기 소개, 주제 언급 후 시작
다 하련느 욕심 버리기
청중 끌어들이기
공감 내용
질문
청중들의 머리 가동시키기, 나라면 어떻게 할까?, 궁금하게 만들기
스토리에서 질문거리를 만들기
청중이 얻을 수 있는 이득 언급
오프닝: 재미있는 이야기
하지 말 것: 자기소개, 강의 내용 소개, 내용과 무관한 질문
한 슬라이드에는 한 가지만 + 이미지
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기
게임, 비주얼 노벨 스타일 ppt
'글쓰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'한계 없음' 정리 (0) | 2022.09.24 |
---|---|
개념 정리 (0) | 2022.09.11 |
'기억력 수업' 정리 (0) | 2022.08.17 |
'에세이 만드는 법' 정리 (0) | 2022.08.17 |
'한 줄 정리의 힘' 정리 (0) | 2022.08.16 |